본문 바로가기

투자

건설관련주] 건설주, 부동산 대책 발표 이후 하락_20210205

수도권 127만 호 공급 + 2·4 공급대책 공급 200만 가구 달해 역대 최대 규모

출처: 아시아경제

기존 '수도권 127만 가구 공급 계획'에 83만 가구 규모의 '2·4 공급대책'이 더해지면서 표면적으로 이번 정부의 주택 공급 물량은 주택이 절대 부족했던 노태우 정부 당시의 '주택 200만 가구 건설계획'에 비견되는 역대급 규모가 됐다.

 

노태우 정부 당시 신도시 등 대규모 물량 공세로 실제 집값이 10년 가까이 안정세를 보인 만큼 이번 대책도 치솟는 집 값을 잡을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이 제기된다. 하지만 일각에선 공공 정비사업에 대한 민간의 참여의지가 불확실하고, 신규 택지공급 계획도 아직 미정인 만큼 과거와 달리 '희망고문'에 그칠 것이라는 우려도 만만치 않다.

 

5일 정부와 업계에 따르면 국토교통부는 전날 2025년까지 서울 32만 3000가구를 포함해 전국에 총 83만 6000가구를 공급한다는 계획을 내놨다. 3기 신도시 등을 통해 현재 추진 중인 수도권 127만 가구 공급계획과 합치면 전체 물량이 200만 가구를 넘는다. 물량만 보면 노태우 정부의 200만가구 공급계획에 비견되는 "역대 최대 수준"이다.

 

이번 공급대책과 노태우 정권의 공급대책은 비슷한 점이 많다. 노태우 전 대통령이 집권할 즈음인 1980년대에도 3저 호황(저달러. 저금리. 저유가)으로 시중의 유동자금이 크게 늘어나 부동산 시장과 증시가 과열됐다. 집값이 폭등하면서 서울을 중심으로 여론이 크게 악화되자 노 전 대통령은 1989년 분당. 일산 등 5개 신도시를 포함해 200만 가구를 공급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문재인 정부가 서울과 인접한 하남. 왕숙 등 5개 3기 신도시를 통해 집값 안정을 이루고자 하는 것처럼 당시에도 1기 신도시가 사업의 주축이 됐다. 노 전 대통령은 이외에도 25만 가구에 달하는 영구임대주택 건설계획을 세웠으며, 토지공개념 3 법(택지소유 상한제. 개발이익환수제. 토지초과이득세)등 강력한 투기억제책도 마련했다. 현 정부와 같이 투기수요 억제와 공급 확대 정책을 복합적으로 운용한 셈이다.

 

노태우 정권의 공급대책은 부실공사, 기반시설 부족, 수도권 인구 집중 등 논란에도 1991년부터 집값 안정에 큰 영향을 미쳤다. 실제 당시 많은 전문가들은 분당이 강남 집값을 10년 이상 잡았다고 평가했고, 건설교통부도 2002년 "주택이 공급되기 시작한 1991년을 고비로 집값이 하락세로 반전했다"라고 설명했다.

 

다만 이번 대책의 성공 여부를 두고는 의견이 다소 엇갈린다. 정부가 전날 정책의 방향성을 밝히긴 했지만, 아직 구체적인 공급지역이나 내용은 공개되지 않아 실현 가능성을 완전히 신뢰하기 힘든 탓이다.

 

물량이 13만 6000호에 달하는 공공 직접 시행 정비사업에 민간이 얼마나 참여할 지도 미지수다. 정부가 재건축 초과이익 환수 면제 등 파격적인 혜택을 주기도 했지만 주요 강남 재건축 단지에선 벌써부터 '매력이 없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택지 공급을 통한 물량 26만 가구를 제외하면 대부분 '민간의 적극적인 참여'에 의존해야 하는 정부의 희망사항일 뿐인 것이다. 정부는 아직 구체적으로 주민과 접촉한 곳도 없는 상태다. 물론 주택보급률과 가구수 분화 등 1990년대와 현재의 상황이 다른 만큼 두 정책을 단순 비교하기는 힘들다.

 

윤성원 국토부 1 차관은 이날 라디오 방송에 출연해 "도심에 공급을 최대한 늘리는 게 집값을 안정시키는 빠른 길"이라며 "공공 직접 시행 정비사업과 관련한 문의도 많이 들어오고 있다"고 자신감을 드러냈다. 윤 차관은 또 "서울에서 공공 직접시행 정비사업이나 도심 공공주택 복합사업을 벌이기 위해 222곳을 추려내 설 연휴 이후 주민 설명회를 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 아시아경제 2021.02.05


부동산 대책 발표 내용이 다소 실망스러웠다는 지적이 많다.

시장에서 원하는 것은 건설주나 기자재 관련주를 투자했던 분들은 주택공급에 대해 많은 기대를 했을 것인데,

막상 발표 내용을 보니 주택공급이 아니라 토지를 우리가 매입하겠다는 목표치가 설치되었다. 

그것도 2025년이라는 목표치를 내세운 것인데, 그로 인해 건설대표주와 건자재주가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다.

 

- 건설대표주, 건자재주 -

출처:MTN 건설대표,건자재주_20210205

 

시멘트 업종, 친환경산업 도약 중 장기적 접근이 필요하다.

출처:MTN 시멘트주

건설자재중에서 시멘트 업종 같은 경우는 중장기적 접근이 가능하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든다.

기대했던 주택공급에 대한 단기적 이익은 없었지만, 시멘트는 건설과 필연적인 관계이기 때문이다.

주택공급은 미루어졌지만, 시멘트의 원재료인 유연탄 가격이 계속 오르면서 시멘트 가격이 상승할 수밖에 없는 명분들이 만들어지고 있다. 

시멘트 업종 같은 경우에도 친환경산업에 선두주자가 될 수 있다는 의견이 있다.

폐기물 처리 가격 수수료가 계속 올라가고 있고, 이들이 이러한 사업을 비즈니스 모델로 가져가고 있기 때문에 중장기적으로 가져가 보는 게 괜찮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해본다.